총균쇠를 통해 본 챗GPT: 기술의 중요성

총균쇠를 통해 본 챗GPT: 기술의 중요성

많은 기업과 대학교에 다니며 챗GPT 강연을 서두에 왜 챗GPT를 사용해야 하는지 10번 이상 강조를 한다. 어떻게 기술적 우위가 역사의 흐름을 결정짓는지를 설명할 때에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Guns, Germs, and Steel)"에서 유럽인들이 말을 타고 총을 사용하여 잉카 문명을 파멸시킨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준다. 

책에서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보다 기술적으로 더 발달한 무기와 동물(예: 말)을 사용했으며, 이러한 기술적 우위가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설명한다. 

잉카 문명에 대한 부분에서는, 프란시스코 피사로와 그의 소수의 스페인 병사들이 어떻게 잉카 제국을 정복했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있다. 이들은 말을 타고, 갑옷을 입고, 총과 대포를 사용했으며, 이러한 기술적 우위와 함께 병원균에 대한 내성이 잉카 제국의 몰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다이아몬드는 주장한다.


도구를 발전시키는 속도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에 잉카 문명처럼 머무르고 있다. "총, 균, 쇠"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은, 기술적 우위가 어떻게 역사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ChatGPT와 같은 현대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현재와 미래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핵심이다.

한쪽에서는 챗GPT 3.5와 같은 무료 버전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우리에게 기본적인 통찰력과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강을 건너는 이들 중 일부는 이미 더 발전된 도구, 즉 챗GPT 4.0을 사용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미 누군가는 챗GPT 4.0 사용을 넘어서 다양한 생성형 AI 도구들을 활용하여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정보의 습득 속도나 깊이의 차이가 아니라, 지식의 해석과 활용 방식에서 근본적인 전환을 가져온다. 기술적 우위는 새로운 시대의 문을 여는 열쇠이며, 우리는 그 문턱에 서 있다.


한국 인구감소 문제

한국의 인구 감소 속도가 역사적인 유럽 흑사병 시기보다 빠르다는 점은, 현대 사회에서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도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과거 베이비붐 세대 시절과 달리, 현재의 직장인들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여러 역할을 겸해야 한다. 앞으로는 더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간과 자원의 제약으로 모든 것을 배울 수 없기 때문에, 챗GPT와 같은 AI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은 필수적이다. 이 도구들은 개인이 여러 업무를 능숙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한 사람이 여러 역할을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Read more

AI로 하루 5시간 업무시간 단축하는 법. 사용성연구소 대표 이승필(AI 팟캐스트 #49)

AI로 하루 5시간 업무시간 단축하는 법. 사용성연구소 대표 이승필(AI 팟캐스트 #49)

최근 AI 기술이 직장인들의 업무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AI 기반 업무 도구들은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위해 인기 유튜버 ‘평범한 사업가’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평범한 사람들’에서 웍스AI의 이승필 AX 총괄 이사를 초대해 AI가 업무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By 이승필
웍스AI Generative AI Trend 컨퍼런스

웍스AI Generative AI Trend 컨퍼런스

이승필 대표, 웍스AI AI 트렌드 컨퍼런스 강연 웍스AI가 주최한 AI 트렌드 컨퍼런스에서 이승필 대표(사용성연구소 대표, AX 사업총괄 이사)가 강연을 진행했다. 이번 강연에서는 구글 AI 기술의 최신 동향과 기업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제미나이 2.0, 프로젝트 아스트라, AI 기반 자동화 도구, 텍스트-이미지 및 텍스트-비디오 모델 등 최신 AI 기술의

By 이승필
OpenAI o1: 복잡한 추론을 위한 새로운 언어 모델 도입

OpenAI o1: 복잡한 추론을 위한 새로운 언어 모델 도입

OpenAI가 새로운 대형 언어 모델 o1을 선보였다. 이 모델은 강화 학습을 통해 복잡한 추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되었으며, 최종 답변을 생성하기 전에 내부적으로 깊이 있는 사고 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AI의 추론 능력이 한층 더 향상되었다. OpenAI의 o1은 경쟁 프로그래밍 질문(Codeforces)에서 상위 89%의 성과를 기록했으며, 미국 수학

By 이승필
삼프로TV [AX College 7화]

삼프로TV [AX College 7화]

2024년 11월 12일, 삼프로TV의 특별 방송에 사용성 연구소 이승필 대표가 출연하여 생성형 AI의 발전과 이를 기업 환경에 도입하는 방법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나누었습니다. 이번 방송에서는 생성형 AI가 업무 효율성을 얼마나 극대화할 수 있는지, 그리고 조직 내에서의 AI 활용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들이 소개되었습니다. 방송 주요 내용 1. 생성형 AI의

By 이승필
Footer Example